크게보기 작게보기
페이스북
시대를 이기는 새마을운동
2021년 10월 28일 17시 35분 입력

 

 

 전 세계가 열광하는 드라마 ‘오징어 게 임’이 연일 화제다. ‘오징어 게임’은 456 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 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 드라마는 승자가 패자들의 시체 위에 서있는 것이고 그 패자를 기억하도 록 만든다. 살아남은 누군가는 죽도록 노력해서 이겼다고 생각하겠지만 죽은 누군가 덕분에 살아남을 수 있다는 깨달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각자 도생의 길 을 강요당한 인간의 선택은 비참하다. 오징어 게임은 전 세계가 겪는 불안을 강요하는 사회구조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서바이벌 게임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전 세계인의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오징어 게임’ 열풍을 보면서 이 드라 마가 반영하는 불합리한 현실을 넘어설 길이 무엇인지도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도 이미 불안사회에 들어선지 오래다. 저출생 고령화, 4차 산업혁명, 기후위기와 전통적 양극화에 덧붙여 코로나 대유행까지 겪고 있다.
 우리는 어떻게 이런 불안에 맞설 수 있을까? 불안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이를 넘어설 희망이 없는 것이 더 고통일 수 있다. 우리의 희망은 어디서로부터 올까? ‘오징어 게임’이 그리는 것처럼 죽기 살기 게임에서도 양보하는 어떤 연대일 까, 좀 더 치열한 계산일까, 요행으로 얻어지는 네 것 내 것이 없는 친구를 뜻하는 ‘깐부’맺기일까.
 문득 판을 바꾸어야 한다는 생각이 떠오른다. 모두를 패배자로 만드는 판을 바꾸어야 한다. 각자 도생의 위기를 넘어 서는 공동체 회복의 길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정부도 이런 문제의식을 느끼고 새로운 길을 만드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코로나19로 경기가 침체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제반 정책들을 마련했다고 해서 이 프로젝트를 한국판 뉴딜이라 부른다. 새마을운동도 이 한국판 뉴딜의 선구자로서 그린뉴딜을 비롯한 다양한 실천의 주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판 뉴딜에 대해 교육계에서는 학교중심의 교육체제를 바꾸는 판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많아지고 있다. 산업화 시기 근대적 학교 교육의 틀을 만들고 전 국민이 교육받는 시대를 만들어 한강의 기적을 이뤘다. 그러나 지금은 대학을 마치고도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뿌리산업의 위기로 중장년이 돼 일자리는 더 찾기 어렵다. 또 은퇴 후 긴 노후를 견뎌야 한다. 한번 배워서 평생 먹고 살던 시대가 끝났다.
 그러나 한국의 교육체제는 여전히 학교 중심이다. 저출생으로 학령인구는 갈수록 줄어들어 지난 40년간 폐교된 학교 만 3900개소에 달한다. 그러나 교육부 예산의 99%는 국민 10명 중 1명에 해당하는 학교 다니는 사람들에게만 투자하고 있을 뿐이다. 기존의 성공을 따라가는 방식으로는 현상 유지에 그칠뿐 새로운 변화는 만들 수 없다.
 시대를 이기는 교육은 결국 학교 말고도 계속돼야 할 교육에서 찾아야 한다.
그것을 우리는 평생교육이라 부른다. 이런 평생교육을 위해 새마을운동이 꼭 필요한 역할도 감당해야 한다. 인생의 주인으로 살아가는 삶과 배움이 연결 되는 교육, 품위 있고 유쾌한 삶의 영위케 하는 문화예술 활동, 깨어 있는 민주 시민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일, 마을과 학교를 연결하여 마을교육공동체를 가꾸는 일, 활력 있는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키우는 일 모두가 평생교육이다. 지역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곧 평생학습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런 활동을 잘할 수 있는 조직이 바로 새마을운동이다. 촘촘하게 조직되어 있고 지역 공동체 봉사활동을 왕성하게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새마을운동이 평생교육의 주역으로 스스로를 인식하고, 국민 누구나 배우고 익힐 수 있는 평생 학습 사회 실현을 위해 실천할 때 한국 사회의 희망도 커질 터이다. 


김제선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 news@saemaul.or.kr
< 저작권자 © 새마을운동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