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의 총경지면적은 2015년 131만ha 에서 111만6000ha로 5년 사이에 무려 19 만4ha가 줄었다. 농가당 경지면적은 1.08ha로 1ha미만 농가가 73.3%인 76만 가구, 3ha이상 가구는 고작 7%인 7만 2000 가구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으로 인한 경지면적 축소와 은퇴 후 도시근교로 출입 경작하는 농가 가 늘어 0.5ha미만 농가가 10.5%나 증가 했다. 사정이 이러하니 농축산물 판매금액 또한 1000만 원 미만 농가가 전체의 70.3%인 72만7000 가구를 차지했다. 판 매액이 3000만원 이상인 가구는 전체가 구의 13.4%인 13만9천 가구에 불과했다. 지난 5년간 역시 농업부문은 종사인 구·경지면적·농가소득 등 농업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이 여전히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이다. 0.5ha미만 농가의 지속적 증가와 3ha 이상 농가의 감소는 지난 30여 년간 규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명분으로 추 진한 농업구조조정정책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급격한 경지면적의 감소는 기후위기와 코 로나19 등에 따른 식량 생산의 어려움과 함께 식량문제의 불안정성을 더욱 높이 는 직접적 원인이다. 실제로 식량자급률은 2015년 50.2%에서 지난해 45.8%로 떨어졌다. 주식인 곡물자급률은 20.2%에 불과하다. 식량자급률의 하락은 국가의 식량안보에 대한 위협임과 동시에 국민의 삶을 불안하게 함 을 의미한다. 농업문제는 국가와 국민의 문제로 인식의 대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농업의 다양한 가치와 역할의 그 첫 번째는 안 전한 먹을거리의 안정적 공급이다. 이는 농민의 노력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다. 국가와 국민이 함께 나서야 한다. 국가는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적정 농지의 보전과 농업인력 확충, 농가소득 향상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 과 공익형 직불제 확대 등 정책 실효성 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관련 예산의 확충과 투입에 주저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납세자로서 국민은 농업관련 예산의 확대가 곧 우리 자신의 행복을 위한 일임을 인식하고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농업 예산 또한 국가의 존립과 국민행복 증 진 차원에서 같은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어둡다. 정부의 2022년 예산안을 보면 전년대비 8.4% 증 액한 604.4조원을 편성했으나 농림축산식 품분야 예산은 16조6,767억 원으로 전체 예산 대비 올해 2.9%에서 2.8%로 오히려 줄었다. 내용면에서도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 임산부 친환경농산물지원, 저소득 층 농식품바우처’ 등 취약계층 먹을거리 지원예산이 전액 삭감되는 등 질적 퇴보 를 보이고 있어 매우 심각하다. 남은 국회 심사과정에서 우리 농산물 의 수요확대는 물론 사회형평성 차원에 서도 반드시 관련 예산의 회생과 확충, 전체 농업부문 예산이 증액되도록 정치 권과 국민이 함께 힘을 모을 때이다. 반 가운 소식도 들린다. 도올 김용옥 선생과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배우 정우성씨 등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이달부터 12월까지 국민의 행복 과 나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3농 (농어민·농어업·농어촌)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 팔도를 순회하는 ‘국민총행복과 농 산어촌 개벽 대행진”에 나선다는 소식이다. 모두가 관심을 갖고 함께 나서길 희망한다.